보도자료

  1. 현재위치
  2. 홍보
  3. KBRI NEWS
  4. 보도자료
환경성 뇌질환 진단 · 치료를 위한 한-영 협력 가속
제목 환경성 뇌질환 진단 · 치료를 위한 한-영 협력 가속
부서 대외협력센터
등록일자 2025-04-16
첨부파일 pdf 20250415_[한국뇌연구원] 환경성 뇌질환 진단 치료를 위한 한-영 협력 가속.pdf
환경성 뇌질환 진단 · 치료를 위한 한-영 협력 가속 - 한국뇌연구원 · 영국 뇌질환플랫폼사업단(DPUK)과의 공동연구 국제심포지움 15일 개최 - 미세먼지, 나노플라스틱 등 유해인자에 의한 퇴행성 뇌질환 연구협력 확대 한국뇌연구원은 영국 뇌질환플랫폼사업단(Dementia Platform UK, 이하 DPUK)*과 환경성 인자에 의한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국제심포지움을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영국 뇌질환플랫폼사업단(Dementia Platform UK, DPUK):  영국 바이오뱅크를 기반으로 설립된 뇌질환 빅데이터/중개연구 플랫폼사업단으로,  옥스퍼드대를 중심으로 캠브리지대, 에딘버러대 등 주요 대학 병원들을 비롯해  GSK, 아스트라제네카 등 대형 제약사를 포함한 29개의 협력기관으로 구성됨. 한국뇌연구원은 2020년부터 영국 옥스퍼드대를 중심으로 한 DPUK와 협력 연구체계를 구축하며 공동연구를 추진해 왔으며, 2023년 11월 ‘퇴행성 뇌질환 극복과 글로벌 선순환중개연구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특히, 지난 해 5월 DPUK-KBRI 공동연구센터를 구축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4 첨단바이오 글로벌 역량강화사업 ‘한-영 첨단바이오 국제 공동연구센터 구축’ 과제에 선정되어 현재 임상 데이터 분석 및 퇴행성 뇌질환 바이오 마커 발굴을 주제로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열리는 국제심포지움에서는 DPUK와의 공동연구 가속화를 위한 방안을 더욱 구체화하고, 특히, 미세먼지와 같이 환경성 유해인자에 의한 뇌질환 연구 및 뇌질환 분석 방법 등으로도 공동 연구를 확장해 나갈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먼저, 한국뇌연구원 김범수 선임연구원이 좌장으로 하는 첫 번째 세션 “DPUK-KBRI 공동연구센터 구축 및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서는 ▲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이자 DPUK 선임데이터매니저인 사라 바우어마이스터(Sarah Bauermeister) 박사가 “Dementias Platform UK(DPUK):  Direction of Collaboration research with KBRI  (한국뇌연구원과의 협력 연구 방향)”, ▲ 한국뇌연구원 DPUK-KBRI 공동연구센터 김도근 책임연구원이 “Korea-UK collaborative research center to develop drugs/biomarkers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한-영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및 바이오마커 공동연구센터 설립)”, ▲ 울산과학기술원 조형준 교수가 “Development of imaging based diagnostic markers for Parkinson’s Disease  (파킨슨병의 영상 진단 마커 개발)”, ▲한국과학기술원 박진아 교수가 “Lateral ventricle shape modeling for statistical analysis in health and disease”  (뇌질환 진단에서의 외측 뇌실 모형 모델링 분석)을 주제로 발표한다. 한국뇌연구원 김도근 책임연구원이 좌장을 맡은 두 번째 세션에서는 “환경성 인자에 의한 뇌질환 국내 연구”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들이 주제발표를 한다. ▲ 뉴멕시코 대학교의 마커스 가르시아(Marcus Garcia) 교수가 “Presence of nanoplastics in the brains and its pathological association  (뇌 내 나노플라스틱 존재 및 병리학적 연관성)”, ▲ 에모리대학교의 앙케 휠스(Anke Huels) 교수가 “Association of PM2.5 with the development of Alzheimer Diseases  (PM2.5와 알츠하이머병 발병 간의 연관성)”, ▲ 안전성평가연구소 이규홍 단장이 “Development of Animal Models for Environmental Risk Factor Induced Neurological Disorder  (환경 위험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신경계 질환 동물모델 개발)”, ▲ 한국뇌연구원 김규성 연구원이 “Neuropathological Changes in Animal Models Exposed to Environmental Risk Factors  (환경 위험 요인에 노출된 동물모델에서의 신경병리학적 변화)”를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뇌연구원은 앞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및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도 협력하여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인 파킨슨 병증의 진단 및 치료 타겟을 발굴하고, 2026년까지 임상-전임상 연계 연구를 통한 조기 진단 전략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판길 원장은 “데이터 기반의 뇌질환 연구를 선도하는 DPUK와의 공동연구센터에서  앞으로 생애 전주기에서 발생하는 주요 뇌질환별 맞춤형  예방 · 진단 · 치료 · 관리 기술을 함께 개발하고,  환경 유해인자가 생애 전주기에서  뇌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관련된 뇌질환을 예방, 치료하는 연구로 확대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심포지움에 참석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남혁모 첨단바이오과장도 “ DPUK가 보유한 방대한 환자 임상 데이터 및  분석 역량 과 한국뇌연구원의 전임상 연구 및  실용화 기반 영상 분석 기술을 통해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퇴행성 뇌질환 분야에서  가시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환경성 뇌질환 진단 · 치료를 위한 한-영 협력 가속
윗글 우울증은 뇌 속‘숨은 조율자’가 사라질 때 시작된다.
아랫글 뇌의 운동기억 강화, 성상교세포의 시냅스 선별 제거로 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