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하위 메뉴
제목 | 한국뇌연구원, 과기정통부 뇌은행 첫 지정 | ||
---|---|---|---|
부서 | 대외협력센터 | 등록일자 | 2023-01-31 |
첨부파일 | ![]() |
||
한국뇌연구원, 과기정통부 뇌은행 첫 지정- 연구용 인체뇌자원 2만 5,000여개 확보, 24년 K-브레인넷 개통 -
*강원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전남대병원, 충남대병원, 인제대, 가톨릭대 등 7개소 **제3차 국가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기본계획에 따라 구축한 14개 소재 클러스터의 하나 ㅇ 특히, 한국뇌은행은 협력뇌은행과 함께 2017년부터 총 2,185명의 기증자로부터 조직, 혈액, 뇌척수액, 요(尿) 및 DNA 등 인체 뇌연구자원* 2만4,983개를 기증받아 보존?관리하고 있다. 또 2018년 하반기부터 KBBN 포털(http://kbbn.kbri.re.kr)를 통해 뇌질환 발병기전 및 오믹스 분석을 위한 연구용으로 총 1,152개의 뇌연구자원을 연구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 뇌과학, 뇌의약학 및 뇌공학 등 뇌연구의 기반이 되는 정밀의료의 핵심자원으로, 질병의 원인규명, 위험예측, 진단키트 개발, 치료제 개발 및 다양한 융합연구에 활용되는 자원을 말함 □ 앞으로 한국뇌은행은 연구현장 중심의 뇌은행 운영시스템으로 정비하여 KOLAS 공인 생물자원은행을 확보할 예정이며, 뇌연구자원을 전주기적이고 통합적으로 관리·제공하는 전문포털인 K-Brain Net을 개발하여 2024년에 시범 오픈할 계획이다. ㅇ 또한 한국뇌은행은 윤리적으로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뇌연구자원을 확보?관리?제공하는데 필요한 기준과 절차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해 “뇌은행의 설치 및 운영을 위한 윤리강령, 책임운영지침 및 뇌연구자원 관리지침” 마련하여 보급한 바 있다. □ 김세훈 한국뇌은행장은 “이번 과기정통부 뇌은행 지정을 통해 뇌기증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신뢰도 제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뇌연구자원 분양뿐만 아니라 뇌연구자원을 전략적으로 확보, 활용할 수 있는 연구기획 단계부터 참여하는 커뮤니티형 연구지원 서비스 체계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
윗글 | 한국뇌연구원, 피지선 모반 증후군에 의한 뇌전증 발병 메커니즘 규명 |
---|---|
아랫글 | 한국뇌연구원-연세대 의대 인간 신경다발 확률적 연결성 지도 작성 |
- 자료 담당자 :
- 이승재 Tel. 053-980-8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