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홍보

보도자료

  • 홍보
  • KBRI NEWS
  • 보도자료
언어의 열쇠, 노래하는 새에서 찾다
제목 언어의 열쇠, 노래하는 새에서 찾다
부서 홍보협력팀 등록일자 2018-10-16
첨부파일 pdf [보도자료] 언어의 열쇠, 노래하는 새에서 찾다.pdf

언어의 열쇠, 노래하는 새에게서 찾다

- 한국뇌연구원 고지마 사토시 박사, 해외 학술지 발표
- 아기 새, 비브라토 이용해 정확한 음정의 노래 배워



□ 한국뇌연구원(원장대행 임현호)은 고지마 사토시(Kojima Satoshi) 책임연구원이 아기 새가 노래를 배울 때 비브라토(Vibrato)를 조절하여 실력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6일 밝혔다.
* 비브라토(Vibrato) : 목소리를 상하로 떨리게 하여 울림을 만들어 내는 기교로, 보통 바이브레이션(Vibration)이라고 잘못 알려짐.
 
□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신경과학저널(The Journal of Neuroscience)’ 10월호에 게재되며, 논문명과 저자는 다음과 같다.
* 논문명 : The Avian basal ganglia are a source of rapid behavioral variation that enables vocal motor exploration
* 저자 정보 : Satoshi Kojima(교신저자, 공동 제1저자, 한국뇌연구원), Mimi H. Kao, Allison J. Doupe and Michael S. Brainard.
 
□ 카나리아, 꾀꼬리 등 명금류* 의 수컷 아기 새는 아빠 새의 노래(지저귐)를 듣고 따라 하면서 정확하게 노래하는 법을 배우고, 관련된 뇌 영역을 발달시킨다. 과학자들은 이 과정에서 인간의 언어 및 외국어 학습과 관련된 뇌의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 명금류(Songbirds) : 노래하는 조류. 수컷 새가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노래를 한다.
 
□ 고지마 책임연구원은 명금류의 일종인 금화조의 노래를 분석하여 어린 금화조가 노래를 배울 때 음성의 흔들림, 즉 비브라토를 상황에 따라 변화시키며 정확한 음정의 노래를 배우는 것을 발견했다.
 
○ 즉 아기 새는 비브라토의 시행착오와 연습을 거쳐 얻어낸 최상의 음정으로 노래를 부르면서 암컷을 유혹하는 것이다. 실제로 수컷 새가 단독으로 발성연습을 할 때는 비브라토가 크지만 암컷에게 구애할 때는 비브라토가 작아졌다.
 
□ 또한 연구팀은 아기 새가 대뇌 기저핵에 있는 신경회로를 이용하여 비브라토의 크기를 조절한다는 사실도 함께 밝혀냈다.
* 대뇌기저핵(Basal ganglia) : 척추동물의 전뇌에 위치하여 운동·학습·인식 등과 관련 있음
 
○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명금류의 뇌에서 노래를 배우는 데 핵심적인 영역을 ‘X 영역(Area X)’이라고 불렀다. 연구팀은 대뇌 기저핵이 X영역을 포함하며, 이곳의 신경세포가 새의 노래학습에 필수 요소라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 연구팀은 인간의 영·유아도 비브라토와 같은 흔들림을 사용해 음성패턴을 발달시키거나, 어렸을 때 완벽하게 외국어의 구조와 발음을 습득하는 비밀도 이와 관련될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 고지마 박사는 “후속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대뇌기저핵은 인간의 언어습득에도 중요한 부위로 보인다”며 “새의 노래학습을 통해 인간의 언어습득의 비밀을 풀고, 성인이 되어서도 외국어를 완벽하게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을 발견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연구팀은 현재 아기 새가 성장하면서 발성학습 능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억제하는 약물을 연구하고 있다.
언어의 열쇠, 노래하는 새에서 찾다
윗글 2018 KBRI 뇌연구허브사업 협력연구 성과교류회 개최
아랫글 한국뇌연구원, 아동 뇌발달 연구 참가자 모집
자료 담당자 :
대외협력센터 천지은 Tel. 053-980-8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