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뇌연구원, 제2회 국제신경윤리회의 개최
- 12~13일, 미국 등 9개국 전문가 모여 '올바른 뇌연구' 모색
- 세계 신경윤리 이슈 및 국가간 거대 뇌연구 협력방안 논의
□ 한국뇌연구원(KBRI, 임현호 원장대행)은 10월 12(금)~13(토) 이틀간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제2회 국제신경윤리회의(Global Neuroethics Summit, GNS)’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회의는 한국뇌연구원과 미국 에모리대학교(Emory University) 윤리센터가 공동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국 카블리 재단(Kavli Foundation), 대구시가 후원한다.
□ 이번 국제신경윤리회의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미국 국립보건원(NIH), 미국과학재단(NSF)을 비롯하여 한국, 미국, 호주, 캐나다, EU, 일본, 중국, 칠레, 스페인 등 9개국의 주요 뇌 연구기관과 의*학계, 기업 전문가 등 약 70여명이 참석한다.
○ 행사 공동의장은 미국 에모리대학교 윤리센터에서 신경윤리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는 캐런 로머펜거(Karen Rommelfanger) 교수와 한국뇌연구원 정성진 뇌연구정책센터장이 맡았다.
○ 특히 올해 행사에는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생물인프라 기반분과(DBI) 최고 책임자제임스 데쉴러 ▲미국 뇌연구 프로젝트 ‘브레인 이니셔티브(BRAIN Initiative)’ 책임자인 카블리 재단의 캐롤라인 몬토조 ▲신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뉴런(Neuron) 편집장 지린져 마리엘라 ▲국제신경윤리학회(International Neuroethics Society)의 주디 일레스 전 회장 등 뇌과학 및 신경윤리 분야의 세계적 학자들이 대거 참석한다.
□ 이번 회의는 12일 국제신경윤리 정책간담회와 13일 국제신경윤리 정책수립을 위한 각국 대표자 회의로 진행되며, 첫날 오전 정책간담회는 일반인에게도 개방된다.
○ 행사는 바른미래당 유승민 국회의원의 축사로 시작하며, 일본 브레인프로젝트 총괄책임자 오카베 시게오, 미국 국립보건원(NIH) 신경질환 및 뇌졸중 연구소(NINDS) 책임자 월터 코로세츠, 호주 브레인프로젝트 공동 위원장 린다 리차드 등 7개국(한국, 미국, 일본, 중국, EU, 호주, 캐나다)의 뇌과학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 이들은 각국에서 시행되는 거대 뇌과학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국제사회 기관들의 뇌신경윤리 정책과 전략을 공유하며, 국가 간 협의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 한편 세계 각국의 뇌과학 전문가들은 세계 신경윤리 이슈를 검토하고 구체적 대응방안을 도출하여, 세계적인 학술지 뉴런(Neuron)에 특집기사로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이들은 행사기간동안 국제신경윤리 전문가 육성 및 교육, 과학 연구 그리고 뇌과학 데이터 교류에 대한 국제적 협력 방안도 함께 모색한다.
□ GNS는 뇌신경과학 및 응용기술의 발달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윤리적*법적인 문제를 고찰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제 협의체로, 국제 뇌연구 협력기구(International Brain Initiative·IBI)의 중요 분과이다.
○ IBI는 세계 뇌과학자들이 모여 빅데이터 공유, 플랫폼 표준화 등을 논의하고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공식회의로 현재 한국, 미국, 중국, 일본, EU, 호주, 이스라엘 등 7개국의 6개 기구가 참여하고 있다.
□ 임현호 한국뇌연구원 직무대행(본부장)은 “이번에 열리는 제 2회 국제신경윤리회의는 ‘뇌 신경윤리’에 대한 참여국가 간의 문화적 특성과 차이를 넘어 국제적 기준과 공감대를 마련하고 지속적인 협력과 연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했다.
|